네트워크

Chapter 5.1. 공인 IP vs 사설 IP – 진짜 차이와 역할

Juan_ 2025. 4. 19. 11:24
728x90

📚 Chapter 5.1: 공인 IP vs 사설 IP – 진짜 차이와 역할

✅ 먼저 정의부터 짚고 가자

항목설명
공인 IP (Public IP)인터넷에서 직접 접근 가능한 IP 주소
사설 IP (Private IP)내부망 전용! 인터넷에 직접 노출되지 않음

🌍 공인 IP란?

전 세계에서 고유한 IP 주소
즉, 진짜 인터넷 세계의 주소!

📦 구글, 네이버, 유튜브, 클라우드 서버 전부 공인 IP 사용
→ 예: 8.8.8.8, 1.1.1.1, 13.124.63.12

공인 IP를 쓰면, 외부에서 바로 접속 가능하다! (보안도 중요)

🏠 사설 IP란?

공인 IP 부족해서 만든 내부 전용 주소 영역

대역설명
10.0.0.0 ~ 10.255.255.255대기업망, 클라우드 내부
172.16.0.0 ~ 172.31.255.255중간규모망
192.168.0.0 ~ 192.168.255.255가정, 소규모 사무실

→ 이 IP는 인터넷 상에서 절대 직접 접근 불가!
→ 대신 공유기나 VPN을 통해 나감

🔁 사설 IP인데도 인터넷 되는 이유?

🤔 “나는 192.168인데, 왜 구글 잘만 되는데?”

👉 공유기에서 NAT / PAT 덕분이다!
→ 내부의 사설 IP → 공인 IP로 바꿔서 인터넷과 통신 가능!

(이건 우리가 이미 2단계에서 NAT 배울 때 뽀개봤지~ 😎)

🧠 왜 구분해야 하냐?

이유설명
보안사설 IP는 외부에서 접근 안 됨 → 더 안전함
라우팅사설 IP는 인터넷에서 라우팅 안 됨
NAT 필요사설 IP → 공인 IP 변환 없이 인터넷 안 됨
클라우드 구성공인 IP는 비용 발생, 사설 IP는 내부 통신 전용

🛠️ 실습: 내 IP가 공인인지 사설인지 확인하는 법

🔍 윈도우 / 맥 / 리눅스 공통

  1. 내부 IP 확인:
    ipconfig (Windows)
    ifconfig / ip addr (Linux/Mac)
    192.168.x.x, 10.x.x.x이면 사설 IP
  2. 공인 IP 확인:
    https://whatismyipaddress.com 접속

✨ 비유로 정리하면?

공인 IP = 진짜 주소 있는 건물
사설 IP = 건물 안 사무실 번호

공유기 = 건물 관리실
외부에서 택배 보낼 때는 관리실 주소로 보내고 → 관리실이 사무실로 전달함 (NAT)

✅ 정리 요약

항목공인 IP사설 IP
인터넷 접근직접 가능직접 불가능 (NAT 필요)
고유성전 세계에서 유일중복 가능
주소 범위제한 없음10.x / 172.16.x / 192.168.x
예시8.8.8.8 (구글)192.168.0.1 (공유기)

📦 다음 수업 예고 🎓

Chapter 5.2: 클라우드 네트워크 개요 – AWS, Azure에선 네트워크를 어떻게 구성하나?
퍼블릭 서브넷? 프라이빗 서브넷?
인터넷 게이트웨이? NAT 게이트웨이?
클라우드 시대의 네트워크 구조, 이제 우리가 잡는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