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Chapter 2.3: async/await 완벽 이해 – Task, ValueTask, await 동작원리까지
✅ 이 챕터에서 제대로 배울 것
- 비동기(Asynchronous) 기본 개념
- async/await 기본 문법
- await 내부 동작 원리
- Task와 ValueTask
- async void 쓰면 왜 위험한지
- 실무 패턴 총정리
1️⃣ 비동기(Asynchronous)란?
✅ 비동기 = 일 시켜놓고 결과 기다리면서 다른 일 한다.
현실 비유로:
- 분식집에서 떡볶이 주문
- 사장님이 바로 떡볶이 만들면서 다른 손님 주문도 받음
- 떡볶이 다 되면 "떡볶이 나왔습니다!" 알려줌
✅ C#에서도 비슷하다!
- 무거운 작업을 시키고 (ex. 파일 다운로드)
- 기다리는 동안 다른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2️⃣ async/await 기본 구조
🔥 async 키워드
- 메서드가 비동기로 동작할 거라고 컴파일러에게 알려줌
- 반드시 Task, Task<T>, 또는 ValueTask를 리턴해야 함
🔥 await 키워드
- 비동기 작업(Task)이 끝날 때까지 기다림
- 쓰레드를 점유하지 않고, 호출자에게 제어를 넘긴다
3️⃣ async/await 기본 예제
public async Task<int> GetDataAsync()
{
await Task.Delay(1000); // 1초 쉬기 (쓰레드 안 점유)
return 42;
}
✅ 해석:
- Task.Delay(1000) → 비동기 작업 시작
- await → "이 작업 끝날 때까지 기다릴게! 하지만 나 쓰레드 막지 않는다!"
- 작업 끝나면 42 리턴
4️⃣ await 정확한 동작 원리 (완전 디테일)
🧠 await는 내부에서 이렇게 동작한다!
- await를 만나면
- Task 객체를 확인한다.
- 만약 Task가 이미 끝났으면 (ex. 캐시된 결과)
- 바로 다음 코드로 넘어간다.
- 만약 Task가 아직 안 끝났으면
- 현재 메서드를 중단(Suspend) 시킨다.
- 호출자에게 제어권(Return) 넘긴다.
- 컴퓨터는 다른 일을 할 수 있다.
- Task가 완료되면
- C# 런타임이 "너 Task 끝났어!" 하고 알려준다
- 중단했던 메서드를 다시 이어서 실행(Resume) 한다.
✋ 정말 중요한 것!!
✅ await는 쓰레드를 점유하거나 막지 않는다!
- 기존 쓰레드는 다른 일 하러 가버린다
- Task가 끝났을 때만 다시 이어붙인다
"await은 중단(suspend) + 재개(resume) 컨트롤러다!"
5️⃣ await 내부 상세 흐름 (그림)
[메서드 시작]
↓
[await 만나면?]
↓
(1) Task 완료?
→ YES : 바로 다음 코드로
→ NO : 현재 메서드 중단, 호출자에게 제어권 반환
↓
[Task 완료 이벤트 발생]
↓
[중단된 메서드 다시 이어서 실행]
✅ 이 메커니즘 덕분에
- 서버가 엄청나게 많은 비동기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거다!
6️⃣ Task vs ValueTask
타입 | 설명 | 특징 |
---|---|---|
Task | 비동기 작업 결과 | 거의 대부분 이걸 씀 |
ValueTask | Task를 쓰기엔 너무 가벼운 작업용 | 최적화용으로만 제한 사용 |
✅ 실무에서는 무조건 Task부터 써라.
(ValueTask는 성능 튜닝 최후의 카드임)
7️⃣ async void 쓰면 왜 안 되나?
✅ async void는 "잡을 수 없는 에러"를 만든다.
- Task 기반 async 메서드는 try-catch 가능
- 근데 async void는 리턴 타입이 없으니까
- 호출자 입장에서 예외 핸들링 불가능
✅ 그래서 이벤트 핸들러(버튼 클릭) 말고는 절대 async void 쓰지 말자!
async Task가 표준이다!!
8️⃣ 실전 async/await 패턴
📚 비동기 API 호출 예시
public async Task<string> GetWeatherAsync()
{
using var client = new HttpClient();
var response = await client.GetStringAsync("https://api.weather.com/today");
return response;
}
✅ await를 만나도
✅ 쓰레드는 다른 일 하러 가고
✅ 날씨 API 응답 끝나면 다시 이어서 실행된다
📚 무거운 작업을 비동기로 분리
public async Task ProcessBigDataAsync()
{
var data = await LoadDataAsync();
var result = await AnalyzeDataAsync(data);
await SaveResultsAsync(result);
}
✅ 무거운 데이터 처리도
✅ 비동기로 이어붙이면
✅ 프로그램 응답성(Responsiveness) 유지 가능!
9️⃣ 주의사항: ConfigureAwait(false)
✅ 실무에서는 가끔
await SomeAsyncMethod().ConfigureAwait(false);
요렇게 쓴다.
의미:
- "작업 끝난 후에 원래 SynchronizationContext (UI 스레드 등)로 돌아오지 말고"
- "아무 스레드에서라도 그냥 이어서 실행해라!"
✅ 서버 사이드(.NET Web API)에서는 무조건 ConfigureAwait(false) 추천한다.
(불필요한 컨텍스트 스위칭을 막기 위해)
✅ 최종 요약
항목 | 요약 |
---|---|
async | 비동기 메서드 선언 |
await | 비동기 작업 기다리되, 쓰레드는 안 막음 |
Task | 비동기 작업 결과 |
ValueTask | 최적화용 특수 Task |
async void | 이벤트 핸들러 외 금지 |
ConfigureAwait(false) | 서버에서는 기본 옵션으로 쓰기 |
🎉 여기까지 오면:
async/await은 단순 암기가 아니라,
"내부 동작 구조"까지 완전히 꿰뚫은 상태다!!
📢 다음 스텝
다음 챕터 | 주제 |
---|---|
Chapter 2.4 | LINQ 실무 활용법 (쿼리 vs 메서드 문법) |
728x90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기초부터 고급까지 Chapter 2.5. 파일 입출력, 로그 남기기 – NLog, Serilog 예제 (0) | 2025.04.30 |
---|---|
C# 기초부터 고급까지 Chapter 2.4. LINQ 실무 활용법 – 쿼리 문법 vs 메서드 문법 완전정복 (0) | 2025.04.30 |
C# 기초부터 고급까지 Chapter 2.2. 의존성 주입(DI) – .NET 기본 DI 완전 정복 (6) | 2025.04.28 |
C# 기초부터 고급까지 Chapter 2.1. SOLID 원칙 – 실무 예제로 쉽게 설명하기 (0) | 2025.04.27 |
C# 기초부터 고급까지 Chapter 2.1.5. DIP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 의존성 역전 원칙 (0)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