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Chapter 2.6. 포트 번호란? (문 번호의 정체!)

Juan_ 2025. 4. 12. 19:06

📚 Chapter 2.6. 포트 번호란? (문 번호의 정체!)


✅ 포트(Port)란?

IP 주소는 "컴퓨터"를 찾고,
포트 번호는 "그 컴퓨터 안에 있는 프로그램(서비스)"를 찾는다!

📦 한 컴퓨터에서 웹도 돌고, 메일도 받고, 원격 접속도 해야 되잖아?
그걸 어떻게 구분하냐? → 포트 번호다!


🎯 주소 체계로 보면

192.168.0.10:80  
    └───────┘└┘
     IP 주소   포트 번호

✅ 포트 번호 범위

범위 이름 용도
0 ~ 1023Well-known ports전세계 공용! 서비스 예약 번호
1024 ~ 49151Registered앱들이 등록해서 쓰는 범위
49152 ~ 65535Dynamic/Private임시 연결, 클라이언트 랜덤 포트

📦 자주 쓰이는 Well-known 포트 번호

서비스 프로토콜 포트 번호
HTTPTCP80
HTTPSTCP443
FTPTCP20 (data), 21 (control)
SSHTCP22
DNSUDP/TCP53
DHCPUDP67 (서버), 68 (클라이언트)
SMTP (메일 전송)TCP25
POP3 (메일 수신)TCP110
IMAP (메일 수신)TCP143
RDP (윈도우 원격)TCP3389

🧠 포트는 왜 중요하냐?

  • 같은 컴퓨터에서도 어떤 서비스로 보낼지를 포트로 구분
  • 보안 설정(방화벽/포트포워딩)에도 필수
  • 실무에서 "포트 열려있냐?", "막혀있냐?"가 핵심 체크 포인트!

💬 예시 시나리오

크롬으로 https://google.com 접속한다고 치면?

- 브라우저는 → 443번 포트로 요청
- 서버는 HTTPS 서비스 중이라 → 443번 포트 리슨 중
→ 연결 성공!

📛 근데 방화벽이 443 막고 있으면? → ❌ 연결 안 됨!


🛠️ 실습 명령어

🔍 특정 포트 열렸는지 확인

telnet google.com 443
또는
nc -zv google.com 443

🖥️ 리눅스에서 내 컴퓨터 포트 열려있는지 보기

sudo netstat -tuln

✨ 비유로 쉽게

IP = 우리 집 주소
포트 = 집 안 문 번호
→ "203호 방은 웹서버, 204호 방은 원격 접속"

✅ 정리 요약

개념 설명
포트컴퓨터 내부 서비스 구분용 번호
범위0~65535 (Well-known, Registered, Dynamic)
실무 사용방화벽, 포트포워딩, 접속 트러블슈팅

📘 다음 수업 예고 🎓

📦 2단계 7교시: 패킷 캡처 실습 (Wireshark 입문)

진짜 네트워크에서 패킷이 어떻게 오고 가는지
눈으로 보는 실습! Wireshark로 직접 분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