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Chapter 2.4. DHCP란 (자동으로 IP 주는 서버)

Juan_ 2025. 4. 10. 21:42
728x90

 

✅ 정의부터 정확하게

DHCP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즉, "네트워크 접속한 장비한테 IP, 서브넷, 게이트웨이, DNS 등을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놈!"

📦 왜 필요한데?

수동으로 IP 설정하면...

  • 매번 주소, 서브넷, 게이트웨이 입력해야 됨
  • 실수로 IP 중복될 수도 있음
  • 장비 많아지면 미친다... 🤯

🔥 그래서 DHCP가 등장한 거다

장비가 새로 들어오면 → DHCP가 "IP 줄게~ DNS 줄게~ 게이트웨이도 줄게~"
완.전.자동.설정!!

✅ DHCP 동작 순서 (DORA)

단계 이름 설명
1️⃣ Discover "나 IP 필요한데 누구 있나요~?" (브로드캐스트)
2️⃣ Offer DHCP 서버가 "IP 줄게! 이거 어때?"
3️⃣ Request "좋아요! 그 IP 주세요!"
4️⃣ Ack "확정됐어~ IP는 너 꺼다~" (할당 완료!)

→ 이걸 DORA 프로세스라고 부른다! 🧞


💬 비유로 말하자면?

PC가 전학 온 학생이라 치면,
DHCP 서버는 반장 같은 존재야.
  • 전학생: "자리 어디 앉을까요?" (Discover)
  • 반장: "이 자리 어때?" (Offer)
  • 전학생: "맘에 들어요!" (Request)
  • 반장: "좋아! 거기 앉아~" (Ack)

📌 DHCP가 주는 정보

항목 설명
IP 주소 이게 제일 중요!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범위 계산용
게이트웨이 외부로 나가는 문 주소
DNS 주소 도메인 이름 → IP 변환용
리스 타임 이 IP를 얼마 동안 쓸 수 있는지 (예: 24시간)

🛠️ 실무 예시

장소 DHCP 존재 여부
공유기가 DHCP 서버 역할
회사 전용 DHCP 서버 또는 라우터가 담당
공공 와이파이 대부분 있음! 자동 접속 가능!

🧠 DHCP의 장점

  • ✅ IP 충돌 방지
  • ✅ 자동 설정으로 편리함
  • ✅ 모바일/노트북 환경 필수
  • ✅ 장비 많이 추가되는 환경에 필수적

⚠️ 실무에서 조심할 점

상황 문제점
DHCP 서버가 2개 이상 있음 서로 Offer 보내서 IP 충돌 가능 😨
리스 만료되면? 다시 DORA 재요청! 설정 자동 갱신됨
수동 IP 설정한 장비가 DHCP 범위 안에 있음 IP 중복 가능! 조심!!

🧠 정리 요약

개념 설명
DHCP란? IP, 게이트웨이, DNS 자동 할당 프로토콜
동작 순서 DORA (Discover → Offer → Request → Ack)
누가함? 공유기, 라우터, DHCP 서버
실무 중요성 없으면 장비 설정마다 수동으로 미쳐버림 😵

📘 다음 수업 예고 🎓

📦 2단계 5교시: TCP vs UDP - 신뢰성과 속도의 대결!

"동영상 볼 땐 UDP, 파일 다운로드는 TCP"
그 이유는 뭘까?
속도 vs 신뢰성의 싸움! 딱 정리해준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