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Chapter 2.1. 네트워크 3계층 모델 (OSI 7계층 개념화)

Juan_ 2025. 4. 7. 21:39

📚 Chapter 2.1. 네트워크 3계층 모델 (OSI 7계층 개념화)


✅ 왜 이걸 배워야 하노?

네트워크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알려면
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계층"으로 나눠서 이해해야 된다!

이게 바로 OSI 7계층!
현대 네트워크의 핵심 틀이자,
문제 생겼을 때 어디서 터졌는지 찾는 기준이 된다!


🧱 OSI 7계층 요약표 (외워도 후회 안 한다)

계층 이름 주요 역할 예시
7 응용 (Application) 사용자와 직접 맞닿음 웹브라우저, 이메일
6 표현 (Presentation) 데이터 변환, 암호화 JPEG, MPEG, TLS
5 세션 (Session) 연결 관리 로그인 유지, 세션 ID
4 전송 (Transport) 신뢰성 있는 전송 TCP, UDP
3 네트워크 (Network) 경로 결정, IP 주소 IP, 라우팅
2 데이터링크 (Data Link) 물리주소 처리 (MAC) 이더넷, 스위치
1 물리 (Physical) 실제 전기 신호 케이블, 허브, 전파
위에서 아래로는 "보낼 때",
아래에서 위로는 "받을 때" 흐른다!

✨ 쉽게 외우는 방법

📢 외워! "물데네전세표응!"
→ 물리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또는 반대로:

"응표세전네데물"

진짜 외우기 귀찮으면 "아재가 세탁기 물에 빠졌네" 요딴 거 써도 됨 ㅋㅋ

🧠 계층별 상세 역할 예시

계층 장선생식 설명
1계층 (물리) 전기 신호, 0과 1! 랜선, 와이파이 전파
2계층 (데이터링크) MAC 주소로 누구한테 보낼지 결정! (스위치가 여기서 활약)
3계층 (네트워크) IP 주소로 라우팅! 어디 나라, 어디 동네 가야 하는지 결정 (라우터가 활약)
4계층 (전송) 데이터 조각 분할, 재조립, 오류 체크 (TCP vs UDP!)
5계층 (세션) 연결 유지 관리. 로그인 상태 같은 거
6계층 (표현) 암호화/압축/변환 (예: 한글 → 바이너리)
7계층 (응용) 우리가 직접 쓰는 프로그램들! 웹, 메신저, 메일 등등

⚠️ 실무에서 자주 말하는 "3계층", "2계층"이란?

  • 3계층 장비 = 라우터 (IP 기반 통신)
  • 2계층 장비 = 스위치 (MAC 기반 통신)
  • 1계층 장비 = 허브, 케이블 (그냥 뿌림)
"3계층 장비 써야 라우팅 된다~" 요런 말, 이제 이해될 거다!

📌 진짜 중요한 포인트

  • 문제 생겼을 때 몇 계층에서 터졌는지 파악 가능
  • 각 계층은 딴 계층 몰라도 자기 일만 잘하면 됨 → 이게 계층화 구조의 장점

✨ 실무 예시 하나

니가 웹사이트에 접속한다고 해보자 (https://www.google.com)
  1. 7계층: 크롬이 요청 생성
  2. 6계층: TLS로 암호화
  3. 4계층: TCP 세션 설정
  4. 3계층: 목적지 IP 찾음
  5. 2계층: MAC 주소로 이더넷 프레임 구성
  6. 1계층: 0과 1의 전기 신호로 전송

🧠 정리 요약

키포인트 설명
OSI 7계층 네트워크의 역할을 7단계로 나눈 모델
왜 씀? 역할 분리, 문제 추적, 기술 이해에 필수
실무 중요 계층 3계층(IP/라우팅), 2계층(MAC/스위칭), 4계층(TCP/UDP)
외우는 법 물-데-네-전-세-표-응!

📘 다음 수업 예고 🎓

📦 2단계 2교시: ARP란? (IP → MAC 주소 찾는 법)

드디어 ARP가 어디서 등장하고 왜 중요한지,
7계층 구조 안에서의 위치까지 제대로 짚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