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Chapter 7. 서브넷 마스크 & 브로드캐스트 주소

Juan_ 2025. 4. 6. 14:25

2025-04-06_Chapter 7. 서브넷 마스크 & 브로드캐스트 주소 완전 정복

✅ 1. 서브넷 마스크란?

IP 주소에서 "어디까지가 네트워크고, 어디부터가 호스트인지" 구분하는 도구!

✔️ 왜 필요한데?

  • IP 주소만 보면 어디가 '동네(네트워크)'고, 어디가 '집번지(호스트)'인지 모른다!
  • 예를 들어 192.168.1.77이라는 IP 하나만 딱 보면,
    이게 같은 네트워크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없다.
  • 그걸 알려주는 게 바로 서브넷 마스크다!

✔️ 서브넷 마스크 예시

서브넷 마스크 의미 사용 가능 IP 수
255.255.255.0 /24 254개
255.255.255.128 /25 126개
255.255.254.0 /23 510개
255.255.252.0 /22 1022개

/숫자 표기법은 "앞에서 몇 비트까지가 네트워크냐?" 라는 뜻!


🧠 구조 개념

IP 주소:         192.168.1.77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 /24 =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 앞 24비트 = 네트워크
  • → 뒤 8비트 = 호스트
네트워크 주소 = 192.168.1.0
브로드캐스트 주소 = 192.168.1.255

✅ 2. 브로드캐스트 주소란?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장비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주소!
  •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그 네트워크 대역의 마지막 주소"다!
  • 예: 192.168.1.0/24이면 → 브로드캐스트는 192.168.1.255

🛠️ 실전 계산 예제

예: IP = 192.168.4.37,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2.0 (/22)

  1. 3번째 옥텟 252 = 11111100 → 변화 단위 = 4
  2. 대역 범위 = 192.168.4.0 ~ 192.168.7.255
  3.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 1022개
  4. 브로드캐스트 주소: 192.168.7.255

⚠️ 실무에서 브로드캐스트는 언제 써?

  • ARP 요청: "야~ 이 IP 누구냐~?"
  • DHCP 요청: "나 IP 좀 줘봐요!"
  • UDP 기반 장비 검색

※ 브로드캐스트는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만 통신됨!
라우터 넘어가면 안 간다!


✨ 오늘 요약 정리

개념 설명
서브넷 마스크 IP 주소를 네트워크/호스트로 나누는 마스크
CIDR 표기법 /24, /22 처럼 비트 수로 표기
브로드캐스트 주소 대역의 마지막 주소, 모두에게 뿌릴 때 사용
변화 단위 256 - 마스크 값 = 대역 크기 계산 포인트

🎓 다음 수업 예고

📦 1단계 8교시: 클래스풀 vs 클래스리스

옛날에는 A, B, C 클래스처럼 딱 정해진 IP 범위만 있었는데,
요즘은 CIDR로 자유롭게 쪼갠다!
클래스풀 vs 클래스리스의 차이와 진화 배경 싹 정리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