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apter 6. 패킷과 포트란 무엇인가?네트워크 2025. 4. 6. 14:24
2025-04-06_Chapter 6. 패킷(Packet)과 포트(Port)
✅ 먼저 질문부터 던지자
❓ 인터넷에서 니가 유튜브도 보고, 카카오톡도 하고, 파일도 받고
다 같은 컴퓨터에서 동시에 하는데,
도대체 이 데이터들은 어떻게 안 헷갈리고 제자리에 도착하노?바로 요거 정리해주는 게 패킷과 포트다!!
1️⃣ 패킷(Packet)이란?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보낼 때 작게 쪼개서 봉투에 담는 것
📦 쉽게 비유하면?
- 니가 라면 박스 3박스를 택배로 보낸다고 해보자.
- 박스 하나하나에 주소, 보낸 사람, 내용물 요약 적혀있지?
→ 그게 바로 패킷의 구조다!
📑 패킷은 이렇게 생겼다
구성 요소 설명 헤더(Header) 보내는 주소, 받는 주소, 순서, 프로토콜 정보 바디(Body) 실제 데이터 (영상, 글, 파일 내용 등) 데이터를 작~게 쪼개서 순서대로 보내고,
받는 쪽은 이걸 다시 조립해서 보여주는 거지!
2️⃣ 포트(Port)란?
한 컴퓨터 안에서도 여러 프로그램이 돌아가는데,
그 중에 "누가 데이터를 받을지 정하는 문 번호"다!컴퓨터에는 하나의 IP만 있어도,
포트 번호로 어떤 프로그램이 받아야 할지 정한다!
📦 예를 들어보자
- 니 컴퓨터 IP:
192.168.3.17
- 그런데 너는 동시에
- 유튜브도 틀고 있고
- 메신저도 켜놨고
- 파일 다운로드도 하고 있음
이때 외부 서버가
192.168.3.17
한테 데이터를 보내고 싶다?그냥 IP만 찍어서 보내면 → 누가 받을지 몰라서 안됨!
그래서 포트 번호를 같이 써서 정확한 목적지로 보내는 거다!
🎯 실전에서 자주 쓰이는 포트 번호
서비스 포트 번호 설명 HTTP (웹) 80 기본 웹사이트 HTTPS 443 보안 웹사이트 FTP 21 파일 전송 SSH 22 원격 접속 DNS 53 도메인 이름 변환 RDP 3389 윈도우 원격 접속
🛠️ 패킷 & 포트 실제 모습 (Wireshark 같은 툴로 보면)
- IP 주소는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는가?"
- 포트 번호는 "누가 보내고 누가 받는가?"
192.168.3.17:54321 → 8.8.8.8:53
- 출발지: 니 컴퓨터, 포트
54321
(랜덤) - 목적지: 구글 DNS 서버, 포트
53
✨ 정리 요약
개념 설명 패킷 네트워크로 보내는 작은 데이터 단위 (봉투) 포트 어떤 앱/서비스가 그 데이터를 받을지 정하는 문 번호 IP + Port 완전한 주소 → 192.168.3.17:443
이런 식으로!
🔥 마무리 예시로 감 잡기
니가 브라우저로
https://www.google.com
접속하면?- IP: 구글의 IP 주소
- 포트:
443
(HTTPS 포트) - → 그래서 니 컴퓨터는 구글 서버의
443번 문
을 두드린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8. 클래스풀 vs 클래스리스 (0) 2025.04.06 Chapter 7. 서브넷 마스크 & 브로드캐스트 주소 (0) 2025.04.06 Chapter 5. 게이트웨이, 라우터, 스위치란 무엇인가? (0) 2025.04.06 Chapter 4 - DNS란 무엇인가? (0) 2025.04.05 Chapter 3. MAC 주소란 무엇인가? (0)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