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Chapter 4 - DNS란 무엇인가?

Juan_ 2025. 4. 5. 21:27
728x90

📚 Chapter 4. DNS란 무엇인가?

❓ 질문부터 시작

니가 브라우저에다가

www.naver.com

이렇게 친다 치자?

컴퓨터는 글자 못 알아본다 아이가~
진짜로 찾아가려면 IP 주소(숫자)가 필요하다.

예:

223.130.195.200

그럼 이걸 누가 바꿔주노?


✅ 바로 그 역할을 하는 게 DNS

DNS = Domain Name System
사람이 친 주소(도메인)를, 컴퓨터가 이해하는 IP로 바꿔주는 전화번호부다!

🧃 비유: 전화번호부

  • 니가 "엄마"한테 전화하려면 번호 눌러야 되잖아?
  • 근데 매번 번호 외우기 힘들지.
  • 그래서 연락처에 이름 저장해놓고 "엄마" 누르면 전화 걸리잖아?
그 "엄마" → "010-1234-5678" 이렇게 바꿔주는 게 DNS랑 같은 역할이다!

🔁 흐름 순서로 보자

니가 www.google.com 입력하면 이렇게 된다:

  1. 브라우저: "www.google.com 어디 IP고?"
  2. OS: DNS 서버한테 묻는다
  3. DNS 서버가 대답한다: "IP는 142.250.206.196이다"
  4. 브라우저: 오케이~! 그 IP한테 접속!

🔍 DNS 요청 실제 구조

이게 무조건 한 방에 답해주는 게 아니고,
단계적으로 점점 물어보면서 찾는다!

예: www.naver.com 이면?

  1. 루트 DNS 서버 → "com 서버한테 가봐라"
  2. .com 서버 → "naver.com 서버한테 가봐라"
  3. naver.com 서버 → "www.naver.com IP는 요거다!"
요래 요래 돌아다니면서 IP를 찾아주는 거다!
이걸 재귀적 조회, 반복적 조회 이런 식으로도 부른다 (고급 개념은 나중에!)

🛠️ 내 컴퓨터가 쓰는 DNS 서버는 어디?

macOS에서 확인

scutil --dns

→ 쭈욱 내려보면 nameserver = 이 부분! 그게 니 DNS 서버 IP 주소다.

보통은 공유기에서 자동 할당된 DNS 쓰고,
누구는 구글 DNS (8.8.8.8), 클라우드플레어 (1.1.1.1) 요런 거 수동 설정도 한다!


⚡ DNS 캐시도 있다

DNS 결과는 매번 찾으면 느리니까,
한 번 찾은 결과는 잠깐 기억해둔다! (이게 DNS 캐시)

그래서 www.google.com 주소는 한 번 찾고 나면 다음부턴 빠르다!


🧠 요약 정리

개념 설명
DNS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
역할 사람이 보기 쉬운 주소 → 컴퓨터용 IP
예시 www.naver.com223.130.195.200
DNS 서버 IP 주소를 알려주는 서버 (전화번호부 역할)
캐시 자주 쓰는 주소는 기억해둠 (속도 향상)

✨ 보너스: 유명한 DNS 서버

회사 주소 설명
Google 8.8.8.8 / 8.8.4.4 빠르고 안정적
Cloudflare 1.1.1.1 개인정보 보호 중시
KT, SK 각 통신사 기본 DNS 느릴 수도 있음

🎓 다음 수업 예고

📦 1단계 5교시: 게이트웨이, 라우터, 스위치란 무엇인가?

"니 컴퓨터는 IP가 있는데, 도대체 인터넷 바깥으로는 어떻게 나가노?"
집 안에서는 공유기, 회사에선 라우터. 그 차이 제대로 파헤쳐보자!
728x90